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당근마켓 상품권 사기 당할 뻔한 썰(feat.사기예방법)

by 옆집기린 2022. 12. 14.

사진-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160940388016

 

저는 당근 마켓을 자주 이용하는데, 신세계 상품권을 정가의 90% 가격에 판매하는 걸 보고, 웬 떡이냐 하는 마음에 급하게 구매를 하였습니다. 판매자분의 계좌에 선입금을 하고, 판매자분께서 상품권 교환이 가능한 온라인 바우처를 보내주셨습니다. 온라인 바우처는 이마트에 위치한 키오스크나 고객센터에 가서 교환을 해야 하기에 다음날 이마트를 방문하였습니다.

 

그러나... 

'존재하지 않는 제휴사입니다.'

라는 안내메시지가 뜨며,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이 되질 않았습니다.

 

 판매자분께서는 전화도 받질 않으시고 연락이 몇 시간 동안 아예 되질 않으셨습니다. 

 

결론적으로 며칠 안에 환불을 받긴 했지만, 이런 종류의 사기에 당하시는 분들이 저 말고도 좀 있으신 거 같아 사기예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당근마켓 사기예방법

1. 사고자 하는 물품의 시세를 중고나라, 당근마켓 등의 플랫폼에서 확인을 합니다.

 

2. 가격이 터무니 없이 싸다면, 우선 의심부터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예를 들어 신세계 상품권은 보통 정가 대비 95~97% 정도에서 거래가 되는데, 시세보다 많이 싸다 싶으면 사기일 확률이 높습니다. 백화점 상품권뿐만 아니라 문화상품권, 도서상품권도 마찬가지입니다.

 

3. 더치트(thecheat.co.kr)에서 판매자의 전화번호나 계좌번호로 피해사례를 검색해봅니다.

더치트 메인페이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기를 당했다면?

1. 당근마켓 기준, 사고 신고가 가능한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판매자가 거래 물품을 발송했는데, 지속적으로 구매자가 입금을 안 한 경우.
  •  구매자가 입금을 한 후 판매자가 지속적으로 물품 배송을 안 하는 경우.
  •  물품 상태, 구성품 여부를 속여서 판매하는 경우.

2. 위 조건에 해당한다면, 당근마켓을 통해 우선 신고를 합니다.

  • 채팅창이나 판매자 물품 상단 메뉴 클릭

 

  • '신고하기' 선택

 

  • 신고이유 선택 후 신고

 

3. 경찰서에도 신고를 합니다

*사기죄 신고는 국내법상 피해자가 직접 신고해야 하기 때문에 관할 경찰서의 민원실에 직접 가셔서 신고해야 한다고 합니다.(온라인, 파출소가 아닌 관할 경찰서로 방문해주세요)

  • 준비물 : 신분증, 사기 피해 입증 자료(채팅 내용, 입금 내역 등)
  • 관할 경찰서 방문하여 민원실에 비치 된 진정서 작성 후 안내에 따라 제출
  • 해당 부서의 안내에 따라 피해 내용에 대한 진술서 작성
  • 사건 이송 및 이후 진행 상황 확인(우편 및 담당 경찰)
  • 경찰서에 신고 시 거래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모르는 경우, 수사기관에 당근마켓으로 관련 공문(압수수색 검증영장)을 보내 달라고 요청하면 된다고 합니다.

 

* 출처 : 당근마켓 F&Q '사기당했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SMALL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