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얼마가 있어야 '부자'일까요? KB 부자보고서 2021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이상 보유한 개인을 의미하는 한국 부자는 2020년 말 기준 39만 3천 명이라고 합니다. 이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은 최소 자산 기준 총자산은 100억이고, 부동산 자산 50억 원, 금융 자산은 최소 30억 원 그리고 현금성 자산 최소 20억 원이라고 합니다.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사업에 성공하신 분들, 로또에 당첨되시는 분들, 재테크 성공하신 분들도 많이 있으시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부자가 되는 첫걸음은 작은 것부터 실행해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1. 마인드셋
왜 부자가 되고 싶은지 스스로를 통찰해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어릴 때 찢어지게 가난해 내 자식들한텐 가난을 물려주기 싫어서, 회사에 얽매여 내 삶을 살지 못하는 거 같아서 등 개인의 환경에 따라 부자가 되고 싶은 이유는 다를 것입니다. 왜 부자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아야 중간중간 어려움이 찾아와도 쉽게 포기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성공한 사람들의 책이나 블로그를 읽어 보며 인사이트를 얻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2. 목표 설정
명확한 목표 금액 설정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난 100억을 벌고 싶다'가 아닌, 정확히 몇 살까지 얼마의 돈을 벌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목표를 명확히해야 단기/중기/장기 목표로 세분화할 수 있고, 진행사항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년 동안 10억을 벌겠다라고 한다면, 1년에 1억, 1달에 833만 원, 1일에 약 28만 원이라는 목표치가 나오게 되고, 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계획들을 더 명확히 세울 수 있게 됩니다.
3. 저축하기
명확한 목표를 세웠다면, 저축 가능한 금액을 설정해야 합니다. 직장인이라면 월급의 60%, 70% 등 본인 상황에 맞게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저축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저축 통장, 생활비 통장, 지출 통장 등으로 통장 쪼개기를 통해 관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4. 가계부 작성하기
원하는 저축 목표를 세웠다면,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도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요즘 가계부 어플도 다양하고, 카드 사용 내역을 자동으로 인식해주는 기능도 있어 가계부 작성이 한결 편해졌습니다. 신용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실적 인정 구간을 손쉽게 알 수 있어, 절제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저도 몇 년째 가계부를 작성 중이지만, 매월 말 사용 내역을 보며 많은 반성을 하곤 합니다.
5. SNS 끊기
많은 사람들이 '부탄'을 세계에서 제일 행복한 나라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2010년 어느 조사에 따르면 '부탄'은 국민의 97%가 행복하다고 할 정도로 가장 행복한 나라 1위였습니다. 하지만, 2019년 조사에서는 95위로 순위가 곤두박질치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인터넷 보급에 SNS로 인해 다른 나라와 비교를 통해 자국의 가난함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SNS에는 행복한 순간이나 자랑할 만한 순간들이 많이 올라옵니다. 그런 SNS를 보고 남과 비교하는 순간 불행이 시작되고, 부자가 되기 위해 세운 목표를 포기할 수도 있게 만들 것입니다. 하루아침에 SNS를 끊기 어려우신 분들은 빈도를 점차 줄여 나가 보시는 거 어떠실까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헷갈리던 환율(Exchange Rate) 정리! (0) | 2022.10.30 |
---|---|
LTV, DTI, DSR 알아보기 (2) | 2022.10.23 |
NFT 주요 용어 정리(4) (1) | 2022.01.27 |
NFT 주요 용어 정리(3) (2) | 2022.01.23 |
NFT 주요 용어 정리(2) (1)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