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자주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LTV, DTI, DSR가 이라고 생각합니다. '주택담보대출'과 관련돼, 익숙하지만 들어도 들어도 헷갈리는 LTV, DTI, DSR을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주택담보대출
은행에서 대출 받을 때, 대출받는 사람은 자신의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기도 합니다. 돈을 제 때 갚지 못할 시 담보로 잡은 집을 팔아서라도 갚겠다는 일종의 약속이 바로 '주택담보대출'입니다. 은행은 모든 사람이 대출을 신청한다고 돈을 빌려 주진 않고, 나름의 기준을 갖고 주택담보대출의 대출금액을 제한합니다.
LTV(Loan To Value) - 주택담보대출비율

- 주택담보대출비율을 뜻함. 쉽게 말해 주택시세 대비 대출금액 비율을 정하는 것.
- 주택시세는 KB부동산시세, 감정가액 등 공신력 있는 자료를 기준으로 합니다
- 예를 들어, LTV가 40%라면, 시세 5억 원인 아파트는 2억 원을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단 규제지역 및 주택 가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DTI(Debt To Income) - 총부채상환비율

- 총부채상환비율을 뜻함
- 대출이용자의 연소득 대비 대출 상환액입니다.
- (예시) 연소득이 8천만원이고,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이 2천만 원, 기타 대출 연간 이자로 800만 원을 상환하고 있다. DTI가 40% 시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나머지 5%에 해당하는 400만 원을 추가 대출 가능합니다

DSR(Debt Service Ratio)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을 뜻함
- 총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DTI의 기타 대출 범위를 이자에서 원리금(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까지 확장한 개념입니다.
- (예시) 연소득이 8천만 원,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000만 원, 기타 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400만 원 상환하고 있고 DSR이 40%라면, 800만 원을 추가 대출 가능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TOSS) 앱으로 푼돈 모으기(광고 아님) (5) | 2022.11.01 |
---|---|
자주 헷갈리던 환율(Exchange Rate) 정리! (0) | 2022.10.30 |
부자되는 첫 걸음 (0) | 2022.10.21 |
NFT 주요 용어 정리(4) (1) | 2022.01.27 |
NFT 주요 용어 정리(3) (2) | 2022.01.23 |
댓글